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데이터베이트h2
- javageneric
- Git
- JPAproxy
- JDBC connection pool
- JPA프록시
- 제이피큐엘쿼리
- springbootH2
- embededtype
- 이해와 원리
- httppie
- jpa
- 스프링부트
- MySqlType
- 임베디드타입
- 자바제너릭
- 스프링부트기본설정
- dockercmd
- Open EntityManager
- spring
- gitinitial
- OSIV
- 에이치투데이터베이스
- springbootproxy
- jpqlquery
- JPAmapping
- springboot기본설정
- JPA값타입
- JPA Hint & Lock
- sql
- Today
- Total
빡코
[MongoDB] 실행 및 기본 명령어 본문
몽고디비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두개의 cmd 창을 실행시키고 아래와 같이 입려한다.
서버측:
mongod
mongod
클라이언트측:
>mongo
>mongo
1.데이터베이스
use 데이버베이스 이름 데이터베이스 생성하기
db : 현재 사용중인 데이터베이스 확
show dbs : 데이터베이스 리스트 확
db.stats() : 데이터베이스 상태확인
db.dropDatabase() : 이터베이스를 제거한다. use로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스위치하고선 실행해야한다.
2. collection
db.cratedCollection(name,[option]) //컬렉션 생성
show collections //컬렉션 확인
db.컬렉션이름.drop() //collection 제거
options 객체의 속성
-capped : Boolean타입이다. 이 값을 true로 설정하면 capped collection을 활성화 시킨다. Capped collection 이란 고정된 크기(fixed size)를 가진 컬렉션으로서, size가 초과되면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덮어쓴다. 이 값을 true로 설정하면 size 값을 꼭 설정해야 한다.
-autoIndex : Boolean타입이다. 이 값을 true로 설정하면, _id 필드에 index를 자동으로 생성한다. 기본값은 false이다. 곧 deprecated 될 예정이므로 쓰지 말자.
-size : number타입이다. Capped collection을 위해 해당 컬렉션의 최대 사이즈를 ~bytes로 지정한다.max : number타입이다. 해당 컬렉션에 추가 할 수 있는 최대 document 갯수를 설정한다
3. 조회
db.데이터베이스.find()
4. Document 제거
db.collectino_name.remove(criteria,[jusOne]);
db.books.remove({"name":"NodeJs"}) //데이터삭제
db.books.remove({"name":"NodeJs"}, true) //하나의 값만 삭제하기
'databas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MySql] 기본 문법 (0) | 2023.12.26 |
---|---|
오라클 관리자 계정 확인하기 +환경변수 설정 + HR 계정 활성화 (0) | 2020.01.30 |
[MongoDB]설치시 에러 조치하기 (0) | 2019.12.28 |